-
- 수생태독성학 Aquatic ecotoxicology
- 본 강좌는 미세조류, 해조류, 대형수중식물 등을 사용한 담수 및 해수 생태독성기법에 대해 다룬다.
-
- 수서환경생물학 특수연구 Special topics on current issues concerning aquatic environment and biology
- 본 강좌는 수중 환경과 생물에 관한 다양한 시사적인 이슈를 다룬다.
-
- 응용생물통계학 Applied biostatistics
- 본 강좌는 기초통계학 배경을 가졌단 가정 하에 실제로 자료를 분석하는 다양한 기술에 대해 다룬다.
-
- 응용해양생명과학 Applied marine Biosciences
- 본 과목은 생화학 및 분자적 기법들을 통해 해양생명과학의 개요의 이해도모 및 해양생물 유래 천연물에 대한 정보 및 이들의 산업적 응용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과목은 해양 생물체에 대한 잠재적 유용성을 탐구할 수 있는 해양생명공학 기술 및 환경의 다양성에 대한 개요를 다루고, 이와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법들에 대한 소개와 해양유래 소재들의 의약품, 방오, 식품 산업 등에서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 해상 대기침적 연구론 Atmospheric Deposition in the Ocean
- 대기로부터 해양으로 강우나 미세입자 강하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인, 해상 대기침적의 중요성과 이것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공부하고, 관련된 연구논문과 이에 활용된 방법론 등을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및 향후 중요한 이슈 등을 발굴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
- 해양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Ocean Data Analysis & Modeling
- 해양의 복잡한 물리적·생지화학적인 과정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해양 데이터 분석 방법을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습을 통해 배우고, 1차원 박스 모델링에서부터 4차원 해수 순환 모델까지 다루게 되며, 각자의 연구지역에 맞는 모델을 찾는 방법과 적용에 대해서 배운다.
-
- 해양 생지화학 순환 Ocean Biogeochemistry
- 본 과목은 해양의 생지화학 순환의 기본이 되는 영양염(질소, 인, 규산염) 및 탄소 순환을 배우고, 과거-현재-미래의 기후 변화와 해양의 생지화학 순환과의 관계에 대해서 배운다.
-
- 해양 탄소순환 연구론 Marine Carbon Cycles
- 해양에서 탄소순환 및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해양흡수, 탄산칼슘 농도의 변화와 같은 해양탄소순환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된 연구논문과 이에 활용된 방법론 등을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및 향후 중요한 이슈 등을 발굴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
- 해양게놈생물학 Marine Genome Biology
- 전 세계적으로 나고야 의정서 발의를 계기로 토착 해양생물의 게놈 분석 및 종 등재를 시행하여 이를 국가고유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고유종 보호 및 유전자원 확보를 시행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생물자원관 및 최근 건립된 해양생물자원관에서 해양동물의 게놈 분석 연구에 크게 관심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게놈 분석은 2000년 초반 사람의 게놈이 분석된 이래 많은 생물들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양생물 역시 큰 관심을 받으며 몇몇 종들에 한하여 게놈 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해양게놈분석의 역사, 현재까지 게놈이 발표된 해양생물종들의 게놈 특이성 및 다양성, 그리고 해양생물학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게놈의 이해 및 기초 생물정보학에 대해 수학한다.
-
- 해양보전생물학 Marine Conservation Biology
- 해양생물보전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최근 이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이용하여 해양생물보전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수업은 강의 뿐 아니라, 해양생물보전에 관한 최신 이슈에 관한 학생들간의 상호 토론으로 진행될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 뿐만아니라, 비판적 사고, 소통, 토론 능력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해양오믹스특론 Advanced Marine Omics
- 해양오믹스특론에서는 다양한 해양환경에 적응된 해양생물자원의 효율적인 확보, 생물 다양성 분석 및 생태계 이해를 위해 유전체 해석기술 및 오믹스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해양생명현상의 발굴 및 활용에 대한 광범위한 내용을 다룬다. 특히 유전체학, 단백체학, 대사체학 등으로 구분되는 오믹스를 원론적으로 이해하며, 이들 오믹스를 이용해 해양생명 특이성을 밝히는 흥미있는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고, 오믹스 기반 해양생명자원을 이용한 의료 및 산업화에 활용될 가능성에 대해 학습한다.
-
- 해양환경생태 및 독성학 Marine Environmental Ecology & Toxicology
- 본 과목에서는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오염 등의 스트레스에 대한 생물의 개체 및 분자수준에서의 독성 반응의 종류 및 다양한 생리화학적 기작을 알아보고, 독성반응을 구체화 할 수 있는 생체 지표의 발굴을 비롯한 최신 독성평가 기법과 관련된 연구 동향 및 관련 기술을 고찰한다.
-
- 해양환경오염물질분석특론 Advanced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al Pollutants
- 해양환경오염물질의 종류, 특성, 관리현황 및 방안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사회경제적, 보건학적 중요도를 이해하고, 물질특성에 기초한 환경유해물질들의 상세 정성/정량분석기법을 소개한다. 특히, 정성/정량분석법 분야에서 최근에 성취된 진일보된 기술을 고찰한다.
-
- 해조류 기초생태학 Fundamental ecology of seaweeds
- 본 강좌는 해조류 군집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상호작용, 즉 종간 경쟁, 섭식, 화학적 방어, 미생물, 외생/내생 그리고 기생생물과의 관계 등에 대해 다룬다.
-
- 해조류 스트레스 생물학 Stress biology of seaweeds
- 본 강좌는 전 지구적 그리고 지역적 환경변화가 해조류 개체 및 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
- 오염물질 해양환경 다매체동태 연구 Multimedia Fate of Pollutants in Marine Environment
- 환경에 배출된 후 오염물질은 확산, 이류, 분배 등을 통해 환경매체내에서 그리고 환경매체간에 이동하여 분포한다. 오염물질의 매체내 혹은 매체간 확산/이류/분배 방향과 정도는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환경인자들의 변화의 함수로써 설명되며, 이러한 다매체적 거동형태의 결과로써 인체 및 생태계의 노출경로 및 노출량이 결정된다. 본 과목은 인체 및 생태계의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경로 및 노출량을 결정하는 오염물질의 환경다매체적 거동형태를 환경화학 및 열역학적 개념에 기초해 설명하며 주요 거동에 미치는 주요 인자들에 대해 고찰한다.
-
- 해양 질소 순환 Marine Nitrogen Cycle
- 해양환경에서 질소 순환을 이해하고, 다른 생지화학 순환과의 연결고리를 파악하여, 향후 기후 변화에 따른 해양 질소 순환의 변환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 해양극한환경생물학 Marine life in extreme environments
-
해양생태계에는 특이한 극한 환경인 양극지, 열수공, 특정 기체 또는 화학물질 등이 끊임없이 뿜어져 나오는 암반 지대 등 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이 존재한다.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생물들은 우리의 예상보다 다수이며, 독특한 내외부 메커니즘을 이용해 극한 환경에 적응하였다. 본 교과목에서는 해양생태계 내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생물들의 특성과 원리에 대해 심도있게 학습한다.
-
- 해양면역생물학 Marine immunology
- 해양생물들에서 발생하는 면역 체계의 변화는 생물들의 생리적, 내분비적, 그리고 일련의 분자 및 생화학 수준들의 반응을 변화시킨다. 특히 해양생물 중 인간의 먹거리로 활용되는 양식 생물들의 면역 체계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병원균에 대한 저항이나 극복 메커니즘 등에 관한 연구결과 역시 꾸준하게 발표되고 있다. 실제 양식생물의 식품에의 활용 산업에 있어 큰 성장은 생물의 질병에 민감하게 하는 환경 요인들에 의해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을 통해 해양생물의 면역체계에 대해 이해하고, 이같은 배경의 이해를 활용한 양식생물의 면역력 강화, 질병 대처 등의 메커니즘에 대해 심도있게 학습한다.
-
- 해양무척추생물 내분비학 Marine invertebrate endocrinology
- 해양생태계에 서식하는 많은 무척추생물들은 고유의 호르몬 체계를 가지고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이들 호르몬들은 생물의 탈피, 신경계 발달, 성 발달, 수중 환경에서의 배우자를 찾는데 매우 중요하며 생물체의 생리 및 생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상대적으로 해양무척추동물의 호르몬 체계는 다른 생물군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매우 흥미로운 조절기작과 호로몬 산물이 존재함에도 깊이있는 공유된 지식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교과목에서는 해양생태계 내 서식하는 무척추생물들의 호르몬 체계에 대해 알아보고, 호르몬에 따른 생물의 특이적 행동 양식, 서식 및 섭식, 짝짓기 등에 대해 현재까지 밝혀진 연구 결과들을 심도있게 알아본다.
-
- 해양생태학 특론 Advanced Marine Ecology
- 해양생태학특론은 환경변화와 상호작용을 통한 해양생물의 적응양식을 전반적으로 공부하는 과목임. 특히 본 과목에서는 학부과정에서 배우지 않은 보다더 구체적인고 심화된 개체, 개체군, 커뮤니티 수준의 학습을 진행함. 본 과목에서는 해양생태 관련 여러 주제와 관련된 최신 연구논문들을 조사,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해양생태학 연구의 최신 동향과 정보를 얻을 수 있음. 특히 본 과목에서는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최신 case study 공부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지구환경변화가 해양생태계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 해양어류 내분비학 Marine fish endocrinology
- 어류는 호르몬의 지배에 의해 암수의 결정, 생식소 발달, 그리고 수정이 일어나게 된다. 어류의 호르몬 지배 체계는 일반적으로 포유류와 유사하지만, 몇 개의 독립적인 기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류호르몬은 해양환경이라는 특수한 서식지에서 일반적인 생물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활용되게 되며 대표적으로 염분도와 온도의 변화, 삼투압 조절 등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용이 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어류의 대표적인 성호르몬과 발생 단계에 필요한 호르몬들, 그리고 이들 호르몬들이 환경의 변화 또는 어류의 종에 따라 어떤 다른 방식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하고, 다른 생물들과의 차이점을 이해하며, 인위적으로 호르몬을 조절하여 양식 등의 산업에 쓰이는 방법에 대해 심도있게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
- 해양연구 Marine Research
- 본 과목은 실제 관측된 해양 (물리-화학-생물-지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양환경 특성을 이해하고,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토론을 하고자 한다. 수학 및 컴퓨터 프로그램 수행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
- 해양화학특론 Advanced Chemical Oceanography
- 화학 해양학 특론은 해양의 복잡한 물리·화학·생물·지질의 상호 작용들 중에서 특히 해수의 화학적인 과정들에 대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심화적인 내용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물리/생물/지질 해양학과의 학문적 연관성 및 응용에 대해서 다룬다.
-
- 해양환경 다매체동태 모형 특론 Environmental Multimedia Fate and Transport Modelling
- 본 강의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환경거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다매체모형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활용하여 오염물질의 거동현상을 모의실험하고, 이 결과를 통해 그 물질의 관리에 필요한 대안이나 방안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강좌는 ‘오염물질 해양환경 다매체동태 연구’의 응용분야로써, 오염물질의 다매체 동태모형들을 종류별로 고찰하고, 화학물질 및 환경특성자료를 이용해 모형을 활용해 물질의 동태를 예측해본다.
-
- 해양환경변화 Changing Ocean Environments
- 본 과목은 기후변화 보고서(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보고된 기후 변화에 따른 해양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배우고, 미래의 기후 변화 예측과 그에 따른 해양 환경 변화에 대해서 토론을 한다.
-
- 해양환경실험 연구 Marine Environmental Experiments
-
수강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해양환경분야 주제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여,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문헌연구, 자료수집(or 현장조사), 결과분석, 보고서 작성 등을 수행한 후 이를 발표하고 토론한다.
본 강좌를 통해 연구과제 진행에 필요한 전 과정에 대한 이해 및 학습을 통해 독립적 연구자로써의 능력을 함양한다.
-
- 해양환경진단학 Marine Environmental Forensic Sciences
- 해양환경진단학은 과학적 방법을 이용해서 환경범죄나 오염현상을 조사하는 분야이다. 환경오염 현상에 대한 조사에 기반하여 오염발생시기, 발생강도, 발생상태 및 그 기원을 추적하고 향후 진행방향에 대해서도 예측한다. 이를 위해, 생지화학적 추적자의 활용, 연대측정, 거동모형활용 등 화학, 물리학, 지질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된 다양한 진단기술과 방법들이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된다. 관련된 주제와 최신 연구논문들을 조사,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최신 동향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해양환경화학 특론 Advanced Marine Environmental Chemistry
- 본 과목은 일반화학 및 화학평형의 기초개념에 근거해 산화-환원 반응, 활동도와 활동계수, 반응속도론, 촉매반응과 효용성, 산-염기 반응과 완충제의 활용도 등을 이해하여 수체를 포함한 각 환경매체에서 제기되는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
- 환경양식학 특론 Environmentally Friendly Aquaculture
-
환경양식학 특론에서는 일반적인 양식에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양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또한 환경이 양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있는 학습을 진행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해서 본 과목에서는 환경과 양식, 친환경 양식 관련 여러 주제와 관련된 최신 연구논문들을 조사,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친환경 양식학 연구의 최신 동향과 정보를 얻을 수 있음. 특히 본 과목에서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친환경 양식관련 최신 case study 공부를 통해 학생들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 지역 해양학 Regional Oceanography
- 해양은 모두 이어져 있지만, 지역별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양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양의 세부 지역별의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서안경계류, 동안경계류, 대륙 주변해, 극지 해역에서의 해양환경 특성과 환경변화에 대해 다룬다.
-
- 해양 및 대기 자료 활용 연구 Ocean and Atmospheric Data Analysis
- 원격탐사, 모형산출물, 관측결과 등과 같은 다양한 해양 및 대기의 자료가 일반 연구자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해양과 대기의 물질교환과 상호작용과 관련된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자료 읽기 및 처리 등을 본 교과목을 통해 다룰 것이다.
-
- 해양생태와 블루카본 보전 Marine Ecology and Blue Carbon Conservation
- 블루카본의 개념과 해양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블루카본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블루카본의 융합적인 활용 분야와 기후변화에서의 역할 및 연안 생태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므로써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블루카본 연구에 대한 동향 및 필요성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는게 본 과목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학, 생태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들이 필요하며 본 강의를 통해 해양생태학의 연구 기법 및 탄소 저장 및 축적 연구 기법 등 기술적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 대학원논문연구(해양) Thesis Research(Marine Science)
-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과목으로 논문을 위한 자료수집으로부터 논문의 전체적인 구도, 그리고 논문요지발표에 이르기까지 논문의 전 과정에 걸쳐 논문에 대하여 지도교수와 학생이 함께 토론하고 검토한다.
-
- 기후변화와해양환경 Climate change and marine environment
- 본 교과목은 기후변화로 인해 변화하는 해양환경과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기후변화로 인해 해양환경에서 발생하는 해양산성화, 수온상승, 저산소증 등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해양생태계와 해양생물이 보이는 다양한 반응기작에 대해 이해한다.
-
- 블루카본대사체학 Metabolomic approach in blue carbon resources
- 본 교과목은 기본적인 대사체학 내 분석 및 결과 이해에 대한 방법론을 가르치며, 블루카본 생물체들을 통해 특이적 대사체 및 기능 분석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 학습을 목표로 한다.
-
- 블루카본배양공학 Blue carbon cultivation technology
- 블루카본 배양공학은 학생들로 하여금 해양생물의 블루카본 capture와 process 그리고 저장 기술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육종 공학, 돌연변이, GMO 등 최신 배양공학기술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것이며, 또한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블루카본 배양시스템을 디자인하고, 각각의 시스템과 해양생물종의 블루카본 capture 능력을 직접 평가함으로써 해양생물뿐만 아니라 양식공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 블루카본산업세미나 Blue-carbon Industry Seminar
-
국내외 블루카본 산업과 관련된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분석함으로써 실질적인 문제해결, 방향설정, 미래예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
- 블루카본생리생태학1 Ecophysiology of blue carbon organisms 1
- 현재 해양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조류 기초생리학과 해조류 기초생태학 과목을 블루카본 생리생태학 1과 2로 확대 개편했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해조류를 비롯한 연안에 서식하는 다양한 블루카본 생물들의 생리생태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과목은 특히 해양생물, 해산식물, 혹이 이와 연관된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블루카본 생물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블루카본생리생태학2 Ecophysiology of blue carbon organisms 2
- 현재 해양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조류 기초생리학과 해조류 기초생태학 과목을 블루카본 생리생태학 1과 2로 확대 개편했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해조류를 비롯한 연안에 서식하는 다양한 블루카본 생물들의 생리생태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과목은 특히 해양생물, 해산식물, 혹이 이와 연관된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블루카본 생물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블루카본생물정보학 Blue carbon bioinformatics
- 본 교과목은 생물정보학을 기반하여 해양생물이 가지는 특이적인 생명현상의 해석과 이해를 목표로 한다. 전사체 등의 다양한 분자적 수준의 대량 정보 데이터에 대한 처리 과정과 해석에 대한 방법론적인 내용에 대해 다룸으로써 생물정보학에 대한 기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으며, 또한 생물정보학 관점에서 블루카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할 수 있다.
-
- 블루카본유전기능신소재 Genetically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n blue carbon resources
- 본 교과목은 블루카본 생물종 내 특이 유전물질 발굴 및 기능극대화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을 바탕으로 방법론 정립과 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능 분석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
- 블루카본이코노미 Economic aspect between transition to a lower carbon and blue carbon
- 본 교과목은 경제 및 정치와 연관된 국제적인 이산화탄소 법제 동향을 학습하며, 이산화탄소 저감 및 대체에너지 생산과 관련되어 우리나라 갯벌에 풍부한 블루카본 자원의 효용가치 및 미래에 대한 경제적 이슈 학습을 목표로 한다.
-
- 특수블루카본배양및실험 Cultivation of blue carbon biomass
- 현재 해양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조류배양학 과목을 특수 블루카본 배양 및 실험으로 개편했다. 특수 블루카본 배양 및 실험에서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블루카본 생물들의 배양환경을 공부한다. 본 과정은 블루카본 생물 중 특히 경제성이 높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조류 종들의 배양 환경들을 문헌연구와 실험실 연구를 통해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해양산업프로젝트 Introduction to blue carbon industry
- 본 교과목에서는 다양한 해양산업 분야를 소개하고 관련 분야에 대한 현황과 최신 동향을 파악한다. 특히, 블루카본의 신규 탄소흡수원으로써 활용되어지는 해양산업 분야의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통해 블루카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
- 해양식품안전관리및위해성평가 Marine Food Safety and Risk Assessment
- 안전한 해양 식품 공급을 위하여 안전관리망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생산단계부터 유통단계에 이르기까지 해양 식품의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본 과목에서는 해양 식품 중 안전성 관리가 필요한 항목 및 안전성 평가 방법 그리고 위해성 평가 체계에 대해 다루고 이와 관련된 사례들을 다룬다.
-
- 해양천연물학 Marine Natural Products
- 해양천연물학은 해양천연물의 개요와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는 방법, 해양생물 시료의 채집과 추출, 정제 방법 나아가 해양천연물의 구조 해석 등을 다루는 학문이다. 해양천연물로부터 질병치료제나 새로운 기능성을 지닌 물질을 개발하고자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탐색하는데 다양한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생리활성 성분에 대한 구조 분석이 주요한 분야로 떠오르면서 이와 관련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 해양환경정책론 Marine environmental sciences and policy
-
해양환경정책론 교과목은 인류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물리학적, 생물학적, 사회과학적 분석하고, 해양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는 해결책을 공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교과목은 해양환경정책 관련 학문분야인 자연과학, 사회과학, 경제학 등을 포함하는 융합교과목이며, 학생들은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해양독성, 환경정의, 해양생태, 신재생에너지, 환경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우리나라의 지방 및 중앙정부의 환경정책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과 국제환경정책에 대해서도 다룬다.
-
- 해조및미세조류바이오매스활용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macro- and micro-algae
-
해조 및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교과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식용, 첨가물, 사료, 식물생장촉진제, 건강보조식품, 에너지, 등 다양한 해조류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응용분야에 대해 학습한다.
뿐만 아니라, 실험실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조류 바이오매스로부터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물질을 추출하고, 관련 산업체 방문 등 학생들이 바이오매스의 활용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 해조생물공학 Marine Algal Biotechnology
-
해조생물공학은 해양에 서식하는 조류를 특정 용도의 제품 또는 공정을 만들거나 변형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응용을 다루는 학문이다.
조류는 다당류, 카로티노이드 등 유용 화학물질의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농업 및 폐수 처리에서 비료 및 성장촉진제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바이오 연료로서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서, 해조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 및 새로운 응용분야로의 확장은 계속 이뤄질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조류 배양, 수확 및 가공에 대한 기술적 배경 및 분자생물학, 오믹스학 등의 기술을 이용한 접근 사례 등 조류 생물공학의 기존 응용분야와 새로운 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 환경과블루카본 Environment and blue carbon
-
본 교과목은 다양한 해양환경과 블루카본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지구시스템에서의 탄소 순환과 생태계의 상호작용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특히 해양환경내에서의 탄소의 역할과 환경오염에 따른 탄소의 변화에 대한 사례를 다룰 예정이며, 최신 연구사례를 활용하여 블루카본에 대한 연구동향 이해와 향후 방향성에 대해 토의한다.
-
- 환경생리학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physiology
-
본 과목은 해양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생명현상을 생리학적 관점에서의 해석과 이해를 목표로 한다.
해양생물과 해양환경의 상호관계를 거시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다양한 해양환경에 대한 해양생물의 진화와 적응에 대해 심도있게 토의한다.
-
- 해양영어프리젠테이션 Scientific presentation skills training
-
- 매주 발표와 토론을 통한 학술대회 영어발표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 효율적인 영어발표를 위한 다양한 표현방법 및 청중과의 상호교류 능력 함양한다.
- 효율적인 영어발표를 위한 슬라이드의 작성 및 구성 방법을 연구한다.
- 영어발표의 전달능력 증진을 위한 기술을 함양한다.
-
- 극지해양과학 Polar marine science
- 본 교과목은 남극과 북극 해양환경의 특이성을 바탕으로 극지해양이 가지는 지구시스템에서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해양의 변화에 대해 심도있는 고찰을 통해 해양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해 이해한다.
-
- 동위원소생태학 Stable isotope ecology
-
- 해양 탄소 순환을 동위원소 기법을 이용하여 이해하고, 동위원소 대한 기본 지식 습득 및 생태학적 해석 능력을 고양한다.
- 동위원소에 대한 기본 내용을 습득,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생태학 및 해양 탄소 순환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지식을 습득한다.
풀팝업(1 개)
imageSlideSetupSeq=71,cnvrsVe=1,stopTime=5,pcCo=1,cnvrsMth=SLIDE,pcMgWidth=100,isImageNoHandlr=false,isCnvrsHandlr=true,isPlayStopHandlr=true